고지혈증, 이제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.
연령대도 10~60대까지 다양하다.
현대인의 잘못된 식습관과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 식품,
그 밖에 기타 원인 등이 만들어낸 지방이 많은 혈액, 고지혈증!
혹시 나도 고지혈증이 아닐까? 고지혈증의 원인과 예방법.
고지혈증이란? |
고지혈증이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. 일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이 240mg/㎗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/㎗ 이상일 때 고지혈증이라고 한다. 고지혈증이라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, 이러한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증가가 동맥경화, 고혈압,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요인이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. |
고지혈증 왜 걸리나? |
- 음식 콜레스테롤, 포화지방, 고량의 칼로리가 포함된 음식에 콜레스테롤이 많다. |
- 유전적요인 만약 이런 유전적 요인이 의심되면 가족 모두 검사를 해보아야 한다. |
- 나이와 성별 보통 남자에서는 20~50세 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부터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. 그러나 여자는 20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남자보다는 낮은 수치로 폐경 전까지 유지된다. 폐경 후에는 남자들보다 콜레스테롤 치가 더 높아진다. 이것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되면서 HDL이 감소하기 때문이다. 그리고 임신과, 피임약들이 혈중 콜레스테롤 치를 증가시키기도 한다. |
- 비만 또한 좋은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인 HDL치도 낮다. |
- 운동부족 유산소운동은 HDL을 증가시킨다 |
- 흡연 이것은 관상동맥질환의 아주 중요한 원인이 된다. 흡연은 총 콜레스테롤을 증가 시키고 HDL을 감소 시킨다. |
- 스트레스 이것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, 과학자들은 스트레스, 긴장 등이 혈중으로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분비하도록 만든다고 한다. |
- 약물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높아 병 원에 갈 때는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의사에게 알려주어야 한다. |
고지혈증 예방법 |
1. 하루 3끼 식사는 규칙적으로 한다. 2. 과식은 피하고 곡류(밥, 빵, 떡 등), 어육류(생선, 고기 등), 채소, 우유, 과일 등을 다양하게 섭취한다. 3.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반드시 싱겁게 식사를 해야 한다. 4. 술은 고혈압과 뇌졸중의 위험이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으나, 만약 마실 경우에는 주 1~2회 이내로 하고, 1회는 2잔 이내로 마시도록 한다. 5. 잡곡류(콩, 보리, 현미), 채소류, 해조류(미역, 다시마) 등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충분히 섭취한다. 6. 햄, 소시지, 핫도그, 반조리 식품 등의 가공식품은 피한다. 7. 비만이라면, 과일이나 우유는 맘껏 먹을 수 없다. |